반응형
반응형
웹 개발에서 폰트 선택은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UX)에 큰 영향을 준다. 내가 만들고 있는 서비스가 자꾸 렌더링 할 때마다 글자가 작아졌다 원상태로 돌아오고 그러길래 왜 그러지 하고 찾아보다가 알게 된 이야기이다! 이번 글에서는 TTF와 WOFF2의 차이를 비교하고, 왜 React 프로젝트에서 WOFF2가 더 적합한지 설명하고자 한다.웹폰트란 무엇인가?웹폰트(Web Font)는 사용자의 로컬 환경에 설치된 글꼴이 아닌, 웹 서버에서 다운로드하여 브라우저가 렌더링하는 글꼴이다. Google Fonts, Adobe Fonts 등 외부 서비스를 통해 불러오거나, 직접 프로젝트에 포함시켜 사용할 수 있다.TTF( TrueType Font )의 특징1980년대 Apple과 Microsoft가 개발한 오래된 폰트 ..
강남언니 인턴 면접 때 CSS in JS가 뭐냐는 질문을 바든 적이 있다. 나는 자신이 없기도 하고, 말로 설명을 할 자신이 없어서 모른다고 했지만 당시 면접관님의 도움을 받아 얼떨결에 답변을 할 수 있었다. 오늘 꿈에서 일하던 날이 나와서 블로그를 작성해보고자 한다!CSS in JS란?CSS in JS는 말 그대로 JavaScript 코드 안에서 CSS를 작성하는 방식이다. (면접 때도 js의 특징을 먼저 물어보면서 나의 답변을 유도해주셨다..하하 Thanks to CT)일반적인 CSS 파일이 아닌, 컴포넌트 내부에서 스타일을 선언하고 관리한다. 대표적인 라이브러리로는 styled-components, Emotion, JSS 등이 있다. import styled from "styled-component..
CSS 변수(CSS Custom Properties)는 웹 개발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술 중 하나인데, 특히 반응형 웹, 다크 모드, 테마 관리와 같은 프로젝트에서 많이 쓰인다. 이번 글에서는 CSS 변수의 개념부터 사용법, 그리고 실제 styled-components 같은 CSS-in-JS 환경에서의 활용까지 자세히 다뤄보고자 한다.!CSS 변수란 무엇인가?CSS 변수는 말 그대로 CSS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정의 값이다. 전통적으로 색상이나 폰트 크기를 바꾸려면 모든 CSS 속성을 일일이 수정해야 했다. 하지만 CSS 변수를 사용하면 공통 속성을 한 곳에서 정의하고 여러 컴포넌트에서 재활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크게 편해진다.:root { --main-color: #3498db; --te..
웹 개발에서 CSS 단위는 디자인의 일관성과 반응형 웹 구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px, %, em, rem, vw, vh는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반드시 이해해야 하는 핵심 단위이다. 이번 글에서는 이 6가지 단위를 각각 비교하고, 언제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면 좋은지 예시와 함께 정리해보고자 한다!1. px (픽셀, pixel)px는 화면상의 고정된 픽셀 단위이다. 1px은 디스플레이의 한 화소(pixel)를 의미한다. 고정 크기가 필요할 때 자주 사용되며, 텍스트, 이미지, 박스 크기를 명확히 지정할 때 유용하다..box { width: 200px; height: 100px; }장점디자인이 브라우저나 해상도와 관계없이 동일하게 표시됨예측 가능성이 높음단점반응형 디자인에 불리함고해상도 디스플레..
Axios로 Spring과 연동 연습을 한 후 새로운 api 사용 방법에 대해 공부해 보았다. 2023.07.18 - [코딩/React] - [React] 서버 연동을 위한 Axios 개념과 사용 방법&Tip [React] 서버 연동을 위한 Axios 개념과 사용 방법&Tip Axios란? Axios는 JavaScript에서 HTTP 요청을 보내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라이브러리이다. 주로 웹 애플리케이션과 API를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데, Axios는 HTTP 요청을 보내고 해당 작업이 완료되면 Pro quddkflty.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공공데이터 포털에 있는 국가 Open Api를 사용하는 방법을 적어보고자 한다. 1. 원하는 공공 API 검색 공공데이터 포털에 회원 가입을 한 후..
개발을 하다보니 검색 기능은 대부분 서비스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여 이참에 url에 대해 검색 기능을 고려하는 것은 아니지만 map()함수를 통해 나열하고 있는 data에 대해 검색으로 거르는 내용을 담아보자 1. Axios를 통해 데이터 불러오기 백엔드 또는 API url을 get() 함수를 통해 받아온다. useEffect(() => { // Axios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불러옴 axios.get('https://api.example.com/data') .then((response) => { setData(response.data); // 데이터를 상태에 저장 }) .catch((error) => { console.error('데이터를 불러오는 동안 오류 발생: ', erro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