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js38

JS 모듈 : Default Export와 Named Export의 차이점 default export와 named export는 JavaScript 모듈 시스템에서 모듈을 내보내는 두 가지 방법으로,  그 동안 큰 문제를 겪진 않았지만 코드를 꼼꼼히 보는 습관을 가지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정리하게 되었다. Default Export'Default', 즉 기본값 이라는 뜻으로 주된 기능이나 객체를 대표값 으로 설정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export 방식으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값(예: 주요 클래스나 함수)을 모듈의 기본값으로 설정할 때 적합하다.한 모듈당 하나의 default export만 허용되는 특징이 있다. 그렇기에 임의의 이름으로 모듈을 가져올 수 있다.// module.jsconst add = (a, b) => a + b;export default add;// main.. 2025. 1. 29.
TypeScipt - zod 라이브러리 zod 라이브러리란?Zod는 TypeScript 및 JavaScript 프로젝트에서 입력 데이터를 *스키마로 정의한 후 이를 기반으로 유효성 검사를 가능하게 도와주는 라이브러리이다. Zod를 사용하면 간단한 문법을 통해 데이터 검증과 변환을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주로 API 요청과 서버 응답, 폼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검증할 때 사용할 수 있다. 그렇다면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스키마란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해당 데이터에 대한 규칙과 제약을 정의한 것이다. 기본 스키마 정의 및 유효성 검사기본 타입 스키마 정의Zod를 통해 여러 기본 타입을 검증할 수 있는 스키마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예시와 같이 기본 타입에 추가적인 검증 규칙을 정의할 수 있다.import { z } from '.. 2024. 10. 17.
FLUX 아키텍쳐에 대해 알아보자 Flux 아키텍쳐Flux는 Facebook이 만든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패턴으로, 데이터 흐름과 상태 관리를 단방향으로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아키텍쳐를 한 줄로 요약하면 이해가 잘 가지 않으니 더 깊게 알아보자. 등장 배경 Facebook은 서비스가 성장하고, 더 많은 기능들이 추가되면서 상태 관리의 어려움이 점점 커졌다. 기존에 Facebook 서비스는  MVC(Model-View-Controller) 패턴을 사용하였는데, MVC 패턴은 여러 컴포넌트가 상호작용하면서 각자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양방향 데이터 바인딩을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될 경우 하나의 컴포넌트에서 발생한 상태 변화가 다른 컴포넌트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또 다른 컴포넌트에 영향을 미치면서, 복잡한 상호작용 구조가.. 2024. 10. 14.
React useCallback과 useMemo 차이 성능 최적화란?useCallback과 useMemo는 성능 최적화를 위해 고민하면서 접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성능 최적화란 무엇일까?성능 최적화란 컴포넌트가 불필요하게 재렌더링되거나 시간이 많이 걸리는 연산이 반복되는 것을 방지하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메모이제이션이라는 기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메모이제이션은 이전에 계산한 값을 기억해 두었다가 동일한 입력이 들어왔을 때 다시 계산하지 않고 저장된 값을 재사용하는 방법이다.  이제 메모이제이션을 사용하는 useCallback과 useMemo에 대해 알아보자useCallback란?useCallback은 함수를 메모이제이션하는 데 사용된다. useCallback을 통해 함수가 불필요하게 다시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정 함수.. 2024. 10. 13.
반응형